제15장 WebtoB 4.1 SP3 Fix#2

내용 목차

15.1. 추가 기능
15.1.1. RenegotiationLevel 옵션 추가
15.1.2. Cookie 중 원하는 attribute value만 Logging하는 기능
15.1.3. ForceResponse 1.0 기능
15.1.4. MaxQUrlRedirectStatus 기능
15.1.5. 디렉터리별 ErrorDocument 설정 기능
15.2. 변경 기능
15.2.1. WBSSL Version Upgrade
15.3. 버그 패치
15.3.1. PipeLine Request 시 Memory Leak 버그
15.3.2. wsadmin에서 logstart 실행 시 버그
15.3.3. LOGGING 설정 우선순위 버그
15.3.4. HostHeader가 없는 경우 NODE에 Logging하는 버그
15.3.5. UrlRewrite와 DebugHTHMemory를 설정 시 Boot 실패 버그
15.3.6. 32bit 플랫폼의 Logging size가 2G 이상 기록되지 않는 버그
15.3.7. HTMLS의 Logging Time 버그

15.1. 추가 기능

15.1.1. RenegotiationLevel 옵션 추가

  • RenegotiationLevel 옵션을 추가하여 Renegotiation 사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.

    [예 15.1] SSL 절 RenegotiationLevel 설정 방법

    *SSL
    ssl_name    RenegotiationLevel = <string>, # default is secure
                # secure    Only secure renegotiation allowed. ref) RFC5746
                # insecure  Allow unsafe legacy renegotiation. ref) CVE-2009-3555
                # disable   Disable renegotiation completely.
    

  • 관련이슈 : IMS-62075

15.1.2. Cookie 중 원하는 attribute value만 Logging하는 기능

  • Cookie Header 중 원하는 attribute value만 지정하여 Logging하는 설정을 추가하였다.

    [예 15.2] LOGGING 절 Log Format %C 설정 방법

    *LOGGING
    log1       format= "%h %l %u %t \"%r\" %s %b %{JSESSIONID}C "

  • 관련이슈 : IMS-61835

15.1.3. ForceResponse 1.0 기능

  • HTTP1.0으로 요청이 오면 HTTP1.0으로 응답하도록 하기 위해 ForceResponse10 (default N) 옵션이 추가되었다.

    해당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HTTP1.0의 요청은 HTTP1.1로 응답한다.

    [예 15.3] NODE 절 ForceResponse10 설정 방법

    *NODE
    nodename  
               ForceResponse10 = Y
    

  • 관련이슈 : IMS-61792

15.1.4. MaxQUrlRedirectStatus 기능

  • MaxQURL을 적용할 때 RedirectStatus를 지정할수 있는 기능을 하는 MaxQUrlRedirectStatus (default 302) 옵션이 추가되었다.

    [예 15.4] SERVER 절 MaxQRedirectStatus 설정 방법

    *SERVER
    html       SVGNAME = htmlg, MinProc = 10, MaxProc = 10,
               MaxQCount = 5, MaxQURL = "/redirect/redirect.html", 
             MaxQUrlRedirectStatus="301"
    

  • 관련이슈 : IMS-60409

15.1.5. 디렉터리별 ErrorDocument 설정 기능

  • 디렉터리별로 ErrorDocument를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.

    해당 기능은 HTMLS만 사용 가능하다.

    [예 15.5] DIRECTORY절 ErrorDocument설정 방법

    *DIRECTORY
    directory1    DIRECTORY="docs/test",
               ErrorDocument="404"
    *ERRORDUCUMENT
    404           Status=404, URL="/test/error.html"

  • 관련이슈 : IMS-62376

15.2. 변경 기능

15.2.1. WBSSL Version Upgrade

  • WBSSL의 버전을 기존의 "WBSSL 0.9.8e"에서 "WBSSL 1.0.0d"로 Upgrade 하였다.

    [예 15.6] WBSSL 변경 내용

    $>wbssl version
    WBSSL 1.0.0d 8 Feb 2011

  • 관련이슈 : IMS-62075

15.3. 버그 패치

15.3.1. PipeLine Request 시 Memory Leak 버그

  • PipeLine Request의 응답이 304 또는 hth cache일 경우 Memory 해제를 하지 않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2 Fix#0 이상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2626

15.3.2. wsadmin에서 logstart 실행 시 버그

  • 특정 플랫폼에서 wsadmin의 logstart를 실행할 경우 HTH가 죽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1698

15.3.3. LOGGING 설정 우선순위 버그

  • Logging 우선순위(SVRGROUP > VHOST > NODE)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2710

15.3.4. HostHeader가 없는 경우 NODE에 Logging하는 버그

  • Vhost 요청에 HostHeader가 없는 경우(HTTP1.0) NODE에 Logging하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1941

15.3.5. UrlRewrite와 DebugHTHMemory를 설정 시 Boot 실패 버그

  • UrlRewrite와 DebugHTHMemory를 설정하고 boot를 하면 실패하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DebugHTHMemory는 Debug 옵션으로 운영계 설정은 권장하지 않는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2945

15.3.6. 32bit 플랫폼의 Logging size가 2G 이상 기록되지 않는 버그

  • 특정 플랫폼에서 32bit 제품의 Logging size가 2G 이상 기록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3136

15.3.7. HTMLS의 Logging Time 버그

  • HTMLS에서 요청 파일을 읽기 전에 미리 Logging Time을 기록하는 문제를 수정하였다.

    HTMLS에서 요청 파일을 모두 읽은 시점까지 걸린 시간을 Logging Time으로 하였다.

    참고

    WebtoB 4.1 SP3 Fix#1 이하 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이다.

  • 관련이슈 : IMS-63380